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056형 초계함

덤프버전 :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해군기.svg 현대의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군함 파일:중국 인민해방군기.svg
[ 펼치기 · 접기 ]

잠수함재래식033형R, 035형 밍급, 039형 쑹급, 031형R, 킬로급, 039A/041형 위안급, 032형 칭급
SSN091형 한급, 093형 상급
SSGN{095형}, {097형}
SSBN092형 샤급, 094형 진급, {096형 탕급}
고속정062형 상하이I/II급, 062I형 상하이 III급R, 037형 하이난급, 037I형 하이칭급
어뢰정123형R, 02형R, 025형R
미사일 고속정021형R, 024형R, C14급, 037IG형 후신급, 037II형 후지안급, 022형 후베이급
초계함056(A)형 장다오급
호위함053K형 장동급R, 053(H · H1 · H2 · H1Q · H1G)형 지앙후(I · II · IIIR · IVT · V)급,
053H2G형 장웨이 I급, 053H3형 장웨이 II급, 054(A)형 장카이 (I · II)급, {054B형}
구축함구축함6607형R, 051형 루다급R, 항저우급, 052형 루후급, 051B형 루하이급,
052B형 루양 I급
방공구축함051C형 루저우급, 052C형 루양 II급, 052D형 루양 III급, 055형 런하이급
상륙정067형 윈난급S, 069형 위친급S, 724형 징사 II급 LCAC, 726형 위이급 LCAC, 985형
상륙함LHA075형 위선급, {076형}
LPD071형 위쟈오급
LST072형 위칸급, 072(II · III · A)형 윈칭(I · II · III)급
LSM074형 위하이급, 073(II · IIY)형 위다오급, 073III형 위덩급, 073A형 윈슈급, 079형 위량급
기뢰소해함010형R, 081형 워치급, 082형 워사오급, 082II형 워장급
군수지원함903(A)형 푸치급, 904(A · B)형 따윤급, 905형 푸칭급, 908형 칭하이후, 901형
항공모함001형 랴오닝, 002형 산둥, {003형 푸젠}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T: 기존 함을 연습함으로 전용
※ 윗첨자S: 비축 함선
취소선: 계획으로만 끝났거나 취소된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파일:Type-056-Jiangdao-Tongren-507-c.jpg
파일:Type-056-Jiangdao-Tongren-507-b.jpg

1. 개요
2. 제원
3. 특징
4. 수출
5. 동형함 목록
5.1. 수출형
6. 둘러보기
7. 관련 외부 링크
8.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Type 056 Jiangdao Class Corvette - Chinese Navy - PLAN Guided Missile Frigate "Bengbu"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의 신형 초계함으로 이전에 중국 해군이 건조한 장카이급의 발전된 스텔스 설계가 적용되어 우수한 스텔스 성능을 가질 것으로 보인다.

기본형 22척 이후 건조된 개량형 50척은 선미에 예인 소나가 설치되어 있어 056A형으로 구분한다. 2022년 7월 현재 기본형 22척은 전부 중국 해경으로 소속이 변경되어 중국 해군은 056A형만 운용하게 되었다.


2. 제원[편집]


056형 초계함
056型导弹护卫舰
기본 배수량1,300톤
만재 배수량1,440톤
길이95.5m
전폭11.6m
흘수선4.4m
엔진2 × 디젤 엔진
속력28 노트
항속거리2000 nmi (3704 km) 18 노트시
승무원60 명
레이더Type 360 레이더
무장함포AK-176 76mm 함포 1문
기관포H/PJ-17 30mm RWS 2문
대함YJ-83 (C-803) 대함 미사일 4발
대공HQ-10[1] 8연장 SAM 발사기 1기
대잠YU-7 324mm 3연장 어뢰 발사관 2기


3. 특징[편집]


중국이 신형 초계함으로 장다오급을 기획하고 있다는 사실은 2010년 홍콩 주둔 인민해방군 부대의 지휘관들이 홍콩 대학을 방문 중 대학에 보낸 함정 모형을 통해 알려졌다. 기존의 구형 초계함들을 대체하기 위해 2010년 11월 설계가 승인 되었고 초도함은 2012년 5월에 진수되었는데 이 시점에서 상하이와 광저우의 조선소에서 4척이 건조되고 있었고 우한, 요동 조선소에서도 건조함으로 이전과 다른 4개의 조선소에서 대량으로 건조하는 체제로 구축하여 2013년 2월 시점에서 최소 20척의 건조가 확인되었고 이중 9척이 건조가 완료되어 시험 평가 중에 있다고 한다. 초계함이라고는 하나 무서운 속도로 찍어내고 있다. 외형적으로 보면 네덜란드시그마급과 유사하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Type_056_corvette_anti-ship_missiles.jpg
2013년 5월 15일, YJ-83 (C-803) 대함 미사일
무장은 대함 무장으로 YJ-83 (C-803) 2연장 2기를 탑재하여 4발의 대함 미사일을 운영하며, 함포로는 AK-176 76mm 함포를 1문 장착하였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Type_056_corvette_FL-3000N_8-round_SAM_launcher.jpg
2013년 5월 15일, HQ-10 8연장 함대공 미사일
대공 무장으로 서방의 RAM의 카피품으로 불리는 HQ-10 함대공 미사일을 8연장 발사기로 함미에 장착하였다. 수출형의 경우에는 대신 FL-3000N이 장착된다. 근접 방어는 골키퍼와 유사한 장비인 30mm급의 CIWS 2기를 장비하고 있다. 대잠 무장은 YU-7 324mm 3연장 어뢰 발사관 2기를 장착한다. 헬기는 헬리패드만 있을 뿐 격납고가 없기 때문에 상시 운용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다만 사진에서 보듯이 Harbin Z-9EC 대잠 헬기 1대를 탑재하고 있으므로 그정도는 착륙이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056형은 대량 건조를 통하여 기존의 노후화 된 Type 053H, 053H1급 호위함과 Type 037급 초계함 모두 대체할 것으로 보이며 동해 함대를 시작으로 전 함대에 배치되어 일본과 갈등이 심화되고 있는 센카쿠 열도 분쟁에서도 활약할 것으로 보인다.


4. 수출[편집]


056형의 수출형 설계로 건조된 함선이 현재까지 방글라데시 해군에 4척, 나이지리아 해군에 2척, 알제리 해군에 6척이 수출되었다. 기존 056형 대비 배수량이 커지거나 대공 미사일이 FL-3000N으로 변경되는 등의 차이점이 존재한다.


5. 동형함 목록[편집]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순번함번함명조선소진수일취역일소속상태
Batch-I
1582蚌埠
(벙부)
후둥2012년 5월 23일2013년 2월 25일동부전구해군퇴역 후 중국 해경으로 소속 변경, 선체번호 21616
2596惠州
(후이저우)
황푸2012년 6월 3일2013년 7월 1일남부전구해군퇴역 후 중국 해경으로 소속 변경, 선체번호 21610
3584梅州
(메이저우)
우창2012년 6월 12일2013년 7월 30일남부전구해군퇴역 후 중국 해경으로 소속 변경, 선체번호 4107
4580大同
(다퉁)
랴오난2012년 8월 10일2013년 5월 18일북부전구해군퇴역 후 중국 해경으로 소속 변경, 선체번호 6108
5583上饶
(상라오)
후둥2012년 8월 19일2013년 7월 10일동부전구해군퇴역 후 중국 해경으로 소속 변경, 선체번호 3105
6597钦州
(친저우)
황푸2012년 8월 30일2013년 7월 1일남부전구해군퇴역 후 중국 해경으로 소속 변경, 선체번호 21611
7585百色
(바이써)
우창2012년 10월 25일2013년 10월 12일남부전구해군퇴역 후 중국 해경으로 소속 변경, 선체번호 4108
8581营口
(잉커우)
랴오난2012년 11월 18일2013년 8월 1일북부전구해군퇴역 후 중국 해경으로 소속 변경, 선체번호 6109
Batch-II
9586吉安
(지안)
후둥2013년 2월 25일2014년 1월 8일남해함대2011년 11월 퇴역 후 중국 해경으로 소속 변경, 선체번호 1109
10587揭阳
(지에양)
황푸2013년 1월 26일2014년 1월 26일동해함대2011년 11월 퇴역 후 중국 해경으로 소속 변경, 선체번호 3106
11589清远
(칭위안)
황푸2013년 5월 30일2014년 6월 11일퇴역 후 중국 해경으로 소속 변경
12588泉州
(취안저우)
후둥2013년 6월 25일2014년 8월 8일퇴역 후 중국 해경으로 소속 변경
13592泸州
(루저우)
우창2013년 7월 16일2014년 6월 7일퇴역 후 중국 해경으로 소속 변경
14590威海
(웨이하이)
랴오난2013년 8월 1일2014년 3월 15일퇴역 후 중국 해경으로 소속 변경
15591抚顺
(푸순)
랴오난2013년 8월 1일2014년 7월 12일퇴역 후 중국 해경으로 소속 변경
16595潮州
(차오저우)
황푸2013년 11월 14일2014년 11월 28일퇴역 후 중국 해경으로 소속 변경
Batch-III
17501信阳
(신양)
후둥2014년 5월 1일2015년 3월 7일퇴역 후 중국 해경으로 소속 변경
18503宿州
(소주)
우창2014년 5월2015년 2월 11일퇴역 후 중국 해경으로 소속 변경
19512菏泽
(허저)
황푸2015년 7월 7일2016년 12월 12일퇴역 후 중국 해경으로 소속 변경
20509淮安
(화이안)
후둥2015년 8월 15일2016년 8월 11일퇴역 후 중국 해경으로 소속 변경
21511保定
(바오딩)
랴오난2015년 10월 22일2016년 12월 12일퇴역 후 중국 해경으로 소속 변경
22510宁德
(닝더)
우창2015년 10월 24일2016년 12월 28일퇴역 후 중국 해경으로 소속 변경
056(A)형 초계함
순번함번함명조선소진수일취역일소속상태
Batch-I
12013년 11월 20일2014년 11월 13일
22013년 11월 30일2014년 11월 28일
32014년 5월 16일2015년 5월 6일
42014년 6월 29일2015년 7월 20일
Batch-II
52014년 10월 11일2015년 10월 16일
62014년 12월2016년 1월 25일
72015년 3월 19일2016년 2월 20일
82015년 7월 16일2016년 6월 8일
92015년 12월 25일2017년 1월 18일
102016년 3월 31일2017년 3월 31일
112016년 5월 20일2017년 7월 21일
122016년 7월 22일2017년 7월 11일
132016년 8월 19일2017년 9월 25일
142016년 9월 7일2017년 10월 16일
152016년 9월 14일2018년 1월 15일
162016년 12월 7일2018년 3월
172016년 10월 3일2017년 11월 28일
182016년 10월 28일2017년 11월 16일
192016년 12월 29일2018년 1월 19일
202017년 2월 2일2018년 6월 1일
Batch-III
212017년 7월 26일
222017년 12월 21일
232018년 3월 2일
242018년 3월 17일
252018년 4월 29일
262018년 4월 29일
272018년 5월 16일
28
292018년 8월 8일
302018년 8월 27일
312018년 9월 12일
322018년 12월 11일
33
342019년 1월 15일
352019년 1월 15일
362019년 1월 22일
372019년 3월 7일
382019년 3월 19일
392019년 5월 9일
402019년 7월 5일
412019년 7월 15일
422019년 8월 21일
432019년 9월 17일
442019년 9월 17일
452019년 10월 17일
462019년 11월 8일
472019년 11월 14일
48
492019년 12월 25일
502019년 12월 30일

5.1. 수출형[편집]


방글라데시 해군
순번함번이름조선소기공일진수일취역일상태종류
1F111샤드히노타 (Shadhinota)우창2013년 1월 8일2014년 11월 30일2016년 3월 19일현역C13B
2F112프로토이 (Prottoy)우창2013년 1월 8일2014년 12월 30일2016년 3월 19일
3F113상람 (Sangram)우창2016년 8월 9일2018년 2월 12일2020년 6월 18일
4F114프로따샤 (Prottasha)우창2016년 8월 9일2018년 4월 8일2020년 11월 5일
나이지리아 해군
순번함번이름조선소기공일진수일취역일상태종류
1F91센테너리 (Centenary)우창2013년 1월 27일2015년 2월현역P18N
2F92유니티 (Unity)우창2014년 11월 29일2016년 12월 15일
알제리 해군
순번함번이름조선소기공일진수일취역일상태종류
1940엘 마타세디 (El Moutassadi)우창현역F-15A
2건조 중
3
4
5
6

6. 둘러보기[편집]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현대의 방글라데시 해군 함정 파일:방글라데시 해군기.svg
[ 펼치기 · 접기 ]

잠수함나바자트라급
구잠정카르나풀리급, 바르카트급
어뢰정TB-1급R, TB-35급R
고속정두르바르급R, 샤히드 다울라트급R, 두르조이급R, 파드마급, 메그나급, 두르드하르샤급, 티타시급
초계함비조이급, 두르조이급, 시드래곤급, 샤드히노타급
원양초계함비슈칼리R, 샤히드 루훌 아민R
호위함오스만R, 아부 바크르급(초대)R, 우마르 파루크R, 방가반두, 아부 바크르급(2대), 우마르 파루크급, {신규 방글라데시 해군 호위함 프로그램}
상륙정LCU-1급, 사완드위프급, 샤흐 아마나트급, LCT-103급
소해함샤플라급, 사가르급
※ 윗첨자R : 퇴역 함선
※ {중괄호} : 도입 예정 함선
취소선 :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함선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파일:나이지리아 해군기.svg 현대의 나이지리아 해군 함정
[ 펼치기 · 접기 ]

초계정샬다그 Mk.2급, 만타급, 디펜더급, 세드릭급, {투즐라급}
원양초계함썬더급, 센테너리급, 키안와급
호위함오부마R, 아라두급
상륙함LST암베급R, 카다급, {LST 100}
소해함나이지리아R, 오후에급
예비함루완 야로R, 아마리야급, 아겅구급, 마쿠르디급, 프로스페리티급, 오크포쿠급, 라나급
※ 윗첨자R : 퇴역 함선
※ {중괄호} : 도입 예정 함선
취소선 :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함선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 해상병기 둘러보기
⠀[ 현대 1991~ ]⠀





7. 관련 외부 링크[편집]


(영어 위키백과)Type 056 corvette


8.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4 02:57:07에 나무위키 056형 초계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수출형의 경우는 FL-3000N